전염병 대처 방법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는 갑자기 불어닥쳤고 그것의 여파는 충격적이었다. 그 후 전염병은 계속 출몰하였고 우리는 관심을 크게 갖지 않는다. 인류는 전염병으로부터 계속 고통받아오고 있고 흑사병 등이 그 예시이다. 이 전염병이 또 불어닥친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전염병 개요

  전염병은 사람 간에 전파되는 질병이다. 전염병은 특별한 매개체 없이도 일상생활 도중, 자신도 모르게 걸릴 수 있다. 병원체가 떠다니는 공기 중에서 숨을 쉬면 확산된다. 

전염병의 위험성 사진

 

2. 전염병과 과학

생물학적으로 전염병을 들여다보자.

(1) 병원체 : 전염병은 바이러스, 세균과 기생층 등에 의해 발생된다. 각 병원체는 고유한 생활주기와 전파 방식을 가지고 있다.

(2) 면역 반응 : 인체는 이 병원체에 대응하기 위해 면역 체계를 활용하는데, 백혈구와 항체 등의 면역 세포들이 병원체를 공격하고 제거하려 한다.

(3) 백신 개발 : 백신은 생물학적 연구로 개발되며 병원체의 특정 부분을 사용해 면역 체계를 훈련시키는 방법이다.

(4) 전염병 연구 : 병원체의 유전학, 면역학과 역학 등의 분야로 전염병을 연구하여 새로운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전염병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

 

3. 전염병 대처 방법

(1) 신체를 노출하지 않도록 옷으로 감싸고, 빨래를 자주 한다.

(2) 전염병 증상 의심 및 발생 시에, 쌓아둔 정보를 바탕으로 신속한 치료를 한다.

(3) 기침을 할 시에, 공기 중으로 전파되지 않도록 입막음을 한다.

(4) 집, 대중교통, 공공시설 등에서 환기를 수시로 한다.

(5) 손을 씻을 때, 비누로 꼼꼼하고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물로 씻어 낸다.

(6) 정부와 해외뉴스 등에 관심을 갖고, 정보를 얻어 생활을 이어나간다.

4. 전염병에 대한 정보

  신규 전염병이 사흘에 하나 꼴로 발생하고 있다. 그 예시로, 인플루엔자, 메르스, 에볼라 등이 있다.

  인플루엔자는 독감, 메르스는 중동호흡기증후군이라고 한다. 인플루엔자는 중국에서 제일 많이 발생한다. 이어서 사우디아라비아, 콩고민주공화국 순이다. 2025년 초기에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사망률이 90%에 이르는 새 에볼라 바이러스가 발병되었다.

전염병 사진

 

5. 우리나라의 전염병, 감염병 연구

  국립감염병연구소에서 감염병에 대한 백신 등을 연구개발 중이다. 병원과 산업체, 해외와의 협력으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코로나19 항체치료제를 보유 중이고, 국가백신개발의 핵심이며 임상실험을 지원하고 있다.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운영을 하고 국내외 병원체자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감염병 연구

 

  미래에 새로운 팬데믹이 오지 않을 거라는 확신은 가질 수 없다. 이에 대비하고 발생했을 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였다. 한국의 코로나 사태를 되돌아봤을 때, 이기적인 사람과 단체로 인해 전염벽이 확산되는 일을 없어야 할 것이다. 정확한 정보 제공으로 전염병에 대한 의식 수준이 올라가는 시민들을 기대해 본다.

 

https://youtube.com/shorts/YbpKhAvOA_Q?si=4d_42PJpxU9Tsobj

새 에볼라 바이러스 영상

 

 

'IT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록의 장점 (X의 Grok 후기)  (14) 2025.02.01
로켓의 과학적 원리  (18) 2025.01.31
물리학의 기본  (17) 2025.01.29
플라즈마 쉽게 알아보기  (34) 2025.01.28
테슬라 비행전기차  (19) 2025.01.27